2019.12.08 (일)
- 농진청, 귀리 속 함유물질서 개선 효과 확인 -귀리에만 있는 독자적 성분이 치매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됐다.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귀리의 ‘아베난쓰라마이드’ 물질이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전남대학교 의과대학(조지훈, 김형석 교수 연구팀)과 함께 한 동물실험을 통해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특히, Avn-C의 항치매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아베난쓰라마이드(Avenanthramide, 이하 Avn)는 현재까지 보고된 곡물 중에는 유일하게 귀리에만 있는 물질이다. 전 세계 치매 ...
한국창업능력개발원원 남도발효음식협회와 함께 발효음식전문 교육과정과 자격증 검정을 실시하고 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민간자격증 관리기관 과 주무관청인 농림축산식품부의 신청 절차를 거쳐 자격증 발급검정관리를 ‘한국창업능력개발원’에서 진행하고 있다. 발효음식전문자격증은 ‘자연발효식초지도사’, ‘장류제조지도사’, ‘김치제조지도사’, ‘장아찌제조지도사’, ‘전통주소믈리에’, ‘사찰음식지도사’, ‘약선음식지도사’ 자격증을 관리하고 있다. 자격증 검정 과정은 상설 검정일을 정하고 있지만, 학교 기관등의 단체 취득도 가능하게 ...
- 농촌진흥청, '12월 이달의 식재료 · 조리법' 소개 -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매달 ‘이달의 식재료’를 선정하고 올바른 농식품 정보와 이를 활용해 소비자들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조리법을 소개하고 있다.연말 모임이 잦은 12월에는 밤, 동치미, 석류를 이용해 소중한 사람들과 편하게 즐길 수 있는 파티 음식 조리법을 소개한다.밤은 예로부터 관혼상제에 빠지지 않는 대표적인 과실이다. 독특한 단맛이 있어 구워 먹거나 껍질을 까서 그대로 또는 삶아 먹는다. 다양한 요리의 부재료로도 사용된다.지방이 적고 전분은 많아 삶거나 구...
- 인삼 머리 부분, 저온 피해 보면 이듬해 싹 트기 어려워 -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갑작스러운 추위와 큰 눈에 대비해 겨울철 인삼밭 관리 요령을 제시했다.겨울에는 기온 차이가 커 서릿발1)로 인삼 뿌리가 땅 위로 올라와 저온 피해를 입기 쉽다. 특히, 머리(뇌두) 부분이 피해를 입으면 이듬해 싹 트기가 어려워 잘 자라지 못한다.따라서 밭두둑에 보온 자재를 덮어 온도 변화를 최소화해야 한다.가을에 종자를 심은 밭은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잡초가 덜 자라도록 모래를 1.5cm∼2cm ...
아열대해조류‘옥덩굴’양식방법 개발 성공 -국내최초‘바다포도’와 유사한 해조류인‘옥덩굴’배양 성공 -새로운 경남수산의 먹거리로 개발하기 위한 지속적 연구 박차 경상남도 수산자원연구소(소장 이인석)가 아열대 해조류의 일종인‘바다포도’와 유사한‘옥덩굴(Caulerpasp.)’의 번식시험에 국내 최초로 성공했다.이번에 성공한‘옥덩굴’은 우리나라에서 서식 중인 옥덩굴류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일본의 ...
기온이 내려가면서 추위에 힘들어하시는 분 많으시죠? 춥고 건조한겨울, 체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겨울 제철식재료가 따로 있습니다. 추위에도 제철음식으로건강을 지키기 방법,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농식품 소비공감에서 자세히 알아보기 [자료제공 :(www.korea.kr)]
먹방셰프 이원일 셰프가 반둥 오빠에게 추천해준 음식은 무엇일까요?동남아 여행 가서 먹어봤던 그 음식! 부산에 다 모였습니다.지금 부산에선 한·아세안특별정상회의 다양한 부대행사들로 열기가 대단한데요. 그중 '한아세안푸드스트리트'를 빼놓을 수 없죠! 10개국 음식이 한자리에 현지에서 진짜 맛있다 하는 음식들만 엄선해서 한국으로 초대했다고 합니다. 너무나도 맛있게 먹었던 나시고랭, 바쿠테, 샨누들, 팟타이, 월남쌈, 사테, 레촌 등등. 안 오시면 후회하십니다. 11월 27일까지 열리는 한아세안푸드스트리트 영상으로 먼저 만나보세요! [자...
국립종자원(원장 최병국)은 「2019년 대한민국우수품종상」 대회를 통해 선정된 8개 품종에 대해, 11월 22일(금) 대한민국농업박람회(aT센터) 행사장에서 종자산업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시상식을 개최한다. ❍「대한민국우수품종상」대회는 2005년 시작되어 올해 15회째를 맞이하고 있으며 종자분야 최고 권위의 상(賞)으로 2018년까지 45개 작물 111개 품종에 대해 시상한 바 있다. ❍ 올해는 총 36품종이 출품되어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분야별 심사와 종합심사를 거쳐 최종 8개 품종이 선정되었다. 대통령...